나의 이야기

고사성어

연실이 2018. 9. 21. 13:28

  

 

 

 

                                            

 

 

 

  

        

교제에 대한 고사성어

간담상조(肝膽相照): 간과 쓸개가 서로 보인다는 뜻으로,속마음이 서로 터놓고 친하게 사귐을 뜻합니다.

결초보은(結草報恩): 풀을 묶어서 은혜를 갚는다는 뜻입니다,죽어서 혼령이 되어도 은혜를 잊지 못하고 갚는다는 그런 뜻입니다.

노마지지(老馬之智):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경험이 풍부하고 숙달된 지혜를 이르는 말입니다.또 누구나 한 가지는 재주가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문경지교(刎頸之交):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을만큼 아주 친하고 가까운 친구를 이르는 말입니다,관포지교와 비슷한 말입니다.

미봉책(彌縫策): 터진 옷을 임시로 꿰매는 계책이라는 뜻입니다,결점이나 실패를 덮어 눈가림만 하는 일시적인 뜻이지요.

백아절현(伯牙絶鉉):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어 버렸다는 뜻,자기를 알아주는 참다운 벗의 죽음을 슬퍼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사 족(蛇足): 뱀을 그린 후 뱀에 있지도 않은 발을 그려 넣는 뜻입니다.쓸데없는 짓을 해 도리어 일을 그르치는 말이죠.

 

인생을 생각하게 하는 고사성어

계구우후(鷄口牛後): 닭의 주둥이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말라는 뜻으로,큰 단체의 골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더 나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결자해지(結者解之): 일을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이나 자기 때문에 생긴 일에 대해서는, 자신이 직접 해결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구우일모(九牛一毛): 소 아홉 마리에서 뽑은 털 한 개라는 뜻으로, 많은 것들 중에 아주 작은 것,

하찮은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해질 때 쓰는

말이에요.

남가일몽(南柯一夢): 남쪽으로 뻗은 나뭇가지 밑에서 꾼 꿈이란 뜻으로,덧없는 꿈,꿈처럼 덧없는 한

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당나라 때 순우분이라는 사람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꿈속에서 괴안국의 사위가 되어 20년 동안 부귀영화를 누렸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고사성어(내 인생을 한번쯤 돌아볼 수 있는 고사성어)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오십 걸음 도망친 사람이 백 걸음 도망친 사람을 비웃는다는 뜻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결국 마찬가지라는 말입니다.

와신상담(臥薪嘗膽): 섶나무 위에 누워 잠을 자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가, 월나라의 왕 구천에게 패하고 죽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복수를 맹세하였고, 부차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쓰디 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나온 말입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 우공이 산을 옮겨 놓는다는 뜻으로, 끊임없이 노력하면 마침내 성공한다는 말입니다.

  우공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자손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자,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유비무환(有備無患): 미리 갖추고 있어야 근심이 없다는 뜻으로, 지금 당장 위태롭지 않다고 해서 준비를 게을리 하면 나중에 반드시 위기에 빠진다는 말입니다.

일거양득(一擧兩得):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는 말입니다.

 

고사성어(마음과 관련된 고사성어)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겨 돕는다는 말입니다.

마이동풍(馬耳東風): 말의 귀를 스치고 지나가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냥 흘려보낸다는 말입니다.

미생지신(尾生之信): 미련하여 융통성이 없이 약속만을 굳게 지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춘추 시대에 미생이라는 사람이 다리 밑에서 만나자고 한 여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홍수에도 피하지 않고 기다리다 마침내 물에 빠져 죽었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말입니다.

배중사영(杯中蛇影): 잔 속의 뱀 그림자라는 뜻으로,쓸데없이 의심하여 걱정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술잔에 비친 뱀 그림을 보고, 뱀이 든 술을 마신 줄 알고 병이 났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말입니다.

백미(白眉): 흰 눈썹이란 뜻으로, 여러 사람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많은 것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촉한 때 마량의 다섯 형제가 모두 재주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눈썹 속에 흰 털이 난 량이가장 뛰어났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고사성어(성격과 관련된 고사성어)

백안시(白眼視): 남을 업신 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본다는 말입니다.

사이비(似而非): 겉은 그럴 듯 하게 비슷하나 속은 전혀 다른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즉 진짜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가짜를 뜻한다는 말입니다.

살신성인(殺身成仁): 자기 몸을 바쳐 큰 뜻을 이룬다는 뜻으로, 옳은 도리를 위해서는 자기의 모든

것을 다 바쳐서 희생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상사병(相思甁): 남녀 사이에 서로 간절히 그리워는 하지만 뜻을 이루지 못해 생긴 병을 뜻합니다.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서로 생각하는 병을 말합니다.

아비규환(阿鼻叫喚): 불교의 아비 지옥과 규환 지옥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여러 사람이 비참한 지경에 처하여 고통을 못 참고 울부짖는 참혹한 상태를 나탄내는 말입니다.

암중모색(暗中摸索):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으며 물건을 찾는다는 뜻으로, 확실한 방법을 모르는

채 이리저리 시도해 봄을 이르는 말입니다.

 

고사성어(교육에 관한 고사성어)  

맹모삼천(孟母三遷):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집을 옮겼다는 뜻으로,

자식을 훌륭하게 키우려는 어머니의 마음을 비유해서 쓰는 말입니다.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장 근처로 옮겼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물건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서당 옆으로 옮겼습니다. 그제야 맹자는 긁읽는 흉내를 내었다는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복수난수(覆水難收): 엎지른 물은 다시 그릇에 담기 어렵다는 뜻으로, 한 번 저지른 일은 되돌릴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월하노인(月下老人): 달 아래 노인이란 뜻으로, 중매쟁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조강지처(糟糠之妻): 지게미와 쌀겨 같은 변변치 못한 음식을 먹으며 가난할 때 함께 고생한 아내를 일컫는 말입니다.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및으로 이룬 공이란 뜻으로, 어렵게 공부해서 성공한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국사,사회,풍속에 관한 고사성어

금의야행(錦衣夜行): 비단 옷을 입고 밤길을 걷는다는 뜻으로, 자랑삼아 하지 않으면 생색이 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또는 아무 보람이 없는 행동을 일컫기도 합니다.

난형난제(難兄難弟): 누가 형인지 동생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두 사물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입니다.

대의멸친(大義滅親): 나라의 큰 뜻을 위해서는 부모나 형제의 정도 버린다는 말입니다.

도불습유(道不拾遺): 길에 떨어진 것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법이 엄해 백성이 법을 어기지 않거나,

사람들의 인정이 두터운 경우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맹인모상(盲人模象): 장님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뜻으로, 자기주관과 좁은 소견으로 그릇된 판단을 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미망인(未亡人): 남편이 죽을 때 함께 따라 죽지 못한 여자라는 뜻으로,남편을 잃고 혼자 된 여자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부 마(駙馬): 임금의 사위,즉 공주의 남편을 뜻하는 말입니다.

불구대천지수(不俱袋天之讐):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할 원수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원한이 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상전벽해(桑田碧海): 뽕나무밭이 변해 푸른 바다가 되었다는 뜻으로, 세상이 많이 변한 모양을 일컫는 말입니다.

안중지정(眼中之釘): 눈 속의 못이라는 뜻으로 눈엣가시와 비슷한 말입니다.

 

고사성어(사회에 관련된 고사성어)

양두구육(羊頭狗肉): 양의 머리를 내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선전은 그럴듯하지만 내실이 따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양상군자(梁上君子): 대들보 위에 있는 군자라는 뜻으로, 집에 들어온 도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온고지신(縕故知新): 옛것을 토대로 새것을 창조한다는 말로, 옛것을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면 현재의 새로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그렇게 되면 앞으로 닥쳐올 사태에 대해 올바르게 판단하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완 벽(完璧): 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언비어(流言蜚語): 특별히 누가 말한 것도 아닌데 여기저기 퍼지는 소문을 말합니다.

즉 아무근거 없이 나도는 소문을 뜻합니다.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 원래는 손 한번 들고, 발 한번 뻗는 작은 수고를 뜻했으나, 지금은

'어떤 사람의 행동 하나하나'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일명경인(一鳴驚人): 한번 시작하면 사람을 놀래킬 정도의 대사업을 이룩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제나라 순우곤이 나랏일을 돌보지 않는 위왕을 3년동안

움직이지 않는 새에 빗대 나무라자,위왕이 그 새가 한번 날면 하늘을 뒤흔들고,

한번 울면 사람들은 깜짝 놀라게 할 거라고 말한 데서 나온 말입니다.

 

고사성어(국가와 문화에 관련된 고사성어)

지록위마(指鹿爲馬):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뜻으로,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르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진나라의 조고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하여 보고자 황제 호해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나온 말입니다.

천편일률(千篇一律): 여러 시문이 뛰어난 것이 없고 모두 비슷비슷하다는 뜻입니다. 여러 사물이 비슷

하여 눈에 띄는 게 하나도 없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칠거지악(七去之惡):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죄를 말합니다. 시집온 여자들이 단정한

몸가짐을 가지라는 뜻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기화가거(奇貨可居): 진귀한 물건을 사 두었다가 뒤에 큰 이득을 본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라는 말입니다.

노 익 장(老益壯): 늙었지만 원기나 의욕은 점점 더 좋아지거나, 좋아진 사람을 뜻합니다.

 

고사성어(경제와 문화에 관한 고사성어)

도주지부(陶朱之富): 도주의 부유함이란 뜻으로, 큰 부자를 이르는 말로 쓰입니다. 월나라의 범려라는 사람이 ''라는 곳에 가서 이름을 ''로 바꾸고 장사를 하여 큰 재산을 모았습니다. 이때부터 부자를 일컬을때 도주지부라고 했습니다.

망국지음(亡國之音): 나라를 망하게 하는 음악이란 뜻으로, 저속하고 잡스러운 음악을 이르는 말입니다.

모 순(矛盾): 창과 방패라는 뜻으로, 행동이나 말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을 때 쓰는 말입니다.

  중국 초나라의 한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고,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한 데서 생긴 말입니다.

무릉도원(武陵桃源): 사람들이 화목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이상향으로, 세상에 없는 별천지를 가리

키는 말입니다.

  중국 진나라 때 호남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 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갔다가 굴 속에서 진나라의 난리를 피해 온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그들은 그곳이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많은 세월이 지난줄도 몰랐다는데서 나온 말입니다.

 

 사자성어[꼭 알아야 할 것들

견위수명(見危授命): 나라가 위태로울 때 목숨을 아끼지 않고, 나라를 위하여 싸운다는 뜻

결초보은(結草報恩): 죽어서 혼령이 되어도 그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뜻

경국지색(慶國之色): 군왕이 혹하여 나라가 뒤집혀도 모를 만한 미인, 곧 나라에서 으뜸가는 미인

경이원지(敬而遠之): 1.겉으로는 공경하는 척하나 속으로는 멀리함.

2.존경하기는 하되 가까이하지는 아니함.

경천위지(經天緯地): 천하를 경륜하여 온 세상을 다스린다는 뜻

계구우후(鷄口牛後): 닭의 부리와 소의 꼬리라는 말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라는 뜻입니다.

계란유골(鷄卵有骨):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공교롭게 일이 방해됨을 이르는 말

고군분투(孤軍奮鬪): 약한 힘으로 누구의 도움도 없이 힘에 겨운 일을 해내감

고복격양(鼓福擊壤): 입을 옷과 먹을 것이 풍부하여 안락한 세상, 태평 세월을 즐김을 뜻합니다.

 

한자성어[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것들

고봉준령(高峰峻嶺): 높이 솟은 산봉우리와 험준한 산마루.

고장난명(孤掌難鳴):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고사로, 고생이 끝나면 영화가 온다는 말

골육상쟁(骨肉相爭): 뼈와 살이 서로 싸운다는 말로, 동족끼리 서로 다툰다는 뜻입니다.

공경대부(公卿大夫): 삼공과구경등 벼슬이 높은 사람들을 이르는 말입니다.

과대망상(誇大妄想): 무리하게 과장된 것을 믿는 망령된 생각.

과유불급(過猶不及):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도리어 미치지 못함을 뜻하는 말입니다.

교언령색(巧言令色):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아침하는교묘한 말과 보기 좋게 꾸미는 얼굴빛.

구곡간장(九曲肝腸): 굽이굽이 사무치는 애타는 마음속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구곡간성(救國干城): 나라를 위기에 구하여 지키는 믿음직한 군인이나 인물등을 뜻하는 말입니다.

구밀복검(口蜜福劍): 입 속에는 꿀을 담고 뱃속에는 칼을 지녔다는 고사로,말은 친한척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뜻.

 

사자성어[교육에 꼭 필요한 것들

구우일모(九牛一毛): 아홉 마리의 소에 한 가닥의 털이란 뜻으로, 썩 많은 가운데의 극히 적은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구절양장(九折羊腸): 세상일이 매우 복잡하여 살아가기가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군계일학(群鷄一鶴): 많은 닭들 중 한 마리 학이라는 뜻으로,많은 사람들 중 가장 뛰어난 인물을 말함

군령태산(軍令泰山): 군대의 명령은 태산같이 무거움

군웅할거(群雄割據): 많은 영웅들이 지역을 갈라 자리잡고 서로의 세력을 다투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권모술수(權謨術數):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을 뜻하는 말입니다.

권선장악(勸善懲惡): 착한 행실을 권장하고 나쁜 행실을 징계한다는 뜻입니다.

권토중래(捲土重來): 한 번 패하였다가 세력을 회복하여 다시 쳐 들어옴.

근묵자흑(近墨者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는 고사로, 약한 이를 가까이 하면 악에 물들기 쉽다는 말입니다.

금과옥조(金鍋玉遭):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는 고사로,악한 이를 가까이하면 악에 물들기 쉽다는 말입니다 

 

고사성어(알면 좋은 고사성어)

독불장군(獨不將軍): 홀로 목적을 달성하려는 외로운사람이란 뜻과 혼자서는 장군이 못된다는 뜻으로, 남과 협조하여야 한다는 뜻 두가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가홍상(同價紅裳):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이왕이면 좋은 것을 가진다는 뜻입니다.

동고동락(同苦同樂): 고통과 즐거움을 함께한다는 뜻입니다.

동문서답(東問西答): 묻는말과 상관없는 전혀 엉뚱한 대답이라는 뜻입니다.

동병상련(同甁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처지가 비슷한 사람끼리 서로 도우며 위로한다는 뜻입니다.

동분서주(東奔西走): 이곳 저곳 무척 바쁘게 돌아다닌다는 뜻입니다.

동상이몽(同床理夢):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곧 겉으로는 행동이 같으면서 속으로는 딴 생각을 가진다는 뜻입니다.

 

고사성어/사자성어(꼭 알아야 할 것!)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의약, , 농업에 관한 책만 남기고 모든 책을 불사르고 선비들을 산 채로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을 말해요.

십시일반(十匙一飯):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면 한 사람 먹을 분량이 된다는 뜻으로,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면 한사람을 돕기 쉽다는 말이에요.

오리무중(五里霧中): 사방 5리가 온통 안개 속이라는 뜻으로, 어디에 있는 찾을 길이 막연하거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에요.

천고마비(天高馬肥):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늪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이 좋은 계절임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천의무봉(天衣無縫): 하늘나라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자연스럽고 완전하여 조금도 꾸민 자국이 없다는 말입니다.

 

고사성어(삶에 도움이 되는 고사성어 모음)

청천벽력(靑天霹靂): 말게 갠 하늘의 벼락이라는 뜻으로, 갑자기 생각하지도 않았던 일이 일어나는 경우에 쓰는 말입니다.

퇴 고(褪 敲): 미느냐 두드리느냐라는 뜻으로, 글을 지을 때 문장을 여러번 고치고 다듬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평지풍파(平地風波): 조용하던 땅 위에 갑자기 바람이 불고 파도가 친다는 말로, 평온하던 중에 무언가로 인해 갑자기 시끄러워지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화룡점정(畵龍点睛): 용을 그리는 눈동자를 찍는다는 뜻,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마치어 일을 끝냄을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남조의 양나라에 장승요라는 화가가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림의 용이 실제 용이 되어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고사성어(알아두면 좋은 고사성어)

백년하청(百年河淸): 중국의 황하가 항상 흐리어 맑을 때가 없다는 데서 나온 고사로,아무리 오래되어도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일컫는 말입니다.

백년해로(百年偕老): 부부가 되어 화락하게 인생을 함께 늙는다는 말입니다.

백의종군(白衣從軍): 벼슬이 없는 사람으로 군인도 아니면서 군대를 따라 전쟁을 나간다는 말입니다.

백절불굴(百折不屈): 백번을 꺾여도 굽히지 않는다는 뜻으로 많은 고난을 극복하여 이겨나간다는 말입니다.

백척간두(百尺竿頭):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끝에 섰다는 뜻으로, 대단히 위태로운 상황에 빠짐을 비유한 말입니다.

부전자전(父傳子傳): 대대로 아버지가 아들에게 전한다는 뜻으로, 아들은 아버지를 닮는다는 말입니다.

부화뇌동(附和雷同): 자기 생각이나 주장 없이 남이 하는대로 따라 행동한다는 말입니다.

 

고사성어(인터넷에 찾아볼 수 없는 고사성어들...)

속수무책(束手無策): 손을 묶은 듯이 계략과 대책이 없음, 곧 어찌할 도리가 없음을 뜻합니다.

송구영신(送舊迎新): 묶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다는 뜻입니다.

수구초심(首丘初心):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로 향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일컫음

수복강녕(壽福康寧): 오래 살아 복되며,몸이 건강하여 평안함을 이르는 말

수서량단(首鼠兩端): 팔장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직접 손을 내밀어 간섭하지 않고 그대로

버려둠을 일컫는 말.

수어지교(水魚之交): 고기와 물의 사이처럼,떨어질 수 없는 특별한 친분을 뜻합니다.

수신제가(修身濟家): 행실을 올바로 닦고 집안을 바로 잡는다는 뜻입니다.

순망치한(脣亡齒寒): 입술이 없으면 이가 사라진다는 뜻, 곧 서로 이웃한 사람중에서 한 사람이 망하면

다른 한 사람에게도 영향이 큰다는 뜻입니다.

 

고사성어(난이도 중/꼭 알아야 할 고사성어들)

시종여일(始終如一): 처음과 끝이 한결같이 변함이 없음을 뜻합니다.

식소사번(食小事煩): 먹을 것은 적고 할 일은 많다는 뜻입니다.

식자우환(識字憂患): 글자를 알았던 것이 도리어 근심의 근원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신상필벌(信賞必罰): 공이 있는 사람에게는 필히 상을 주고,죄가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벌을 준다는

뜻입니다.

신언서판(身言書判): 인물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삼던 네 가지 조건, 곧 신수와 말씨와 글씨와 판단력을

뜻합니다.

신출귀몰(神出貴沒): 귀신처럼 자유자재로 나타나기도 하고 숨기도 한다는 뜻으로,날씨게 나타났다 숨었다 하는 모양을 뜻합니다.

심사숙고(深思熟考): 깊이 생각하고 거듭 생각함을 말함, 곧 신중의 신중을 기하여 곰곰이 생각함을 뜻합니다.

 

고사성어(난이도 상)

십년지기(十秊知己): 오래전부터 사귀어 온 친구를 뜻합니다.

십상팔구(十狀八九): 열이면 여덞이나 아홉은 그리함을 뜻합니다.

십시일반(十匙一半): 지옥같은 고통을 참지 못하여 울부 짖는 소리, 곧 여러 사람이 몹시 비참한 지경에 빠졌을 때 그 고통에서 헤어나라고 악을 쓰며 소리를 지르는 모양을 뜻합니다.

아전인수(我田引水): 자기 논에 물대기란 뜻으로, 자기에게 유리한 대로만 함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교만하여 사람들을 아래로 보고 업신여김

약방감초(藥房甘草): 1.무슨 일에나 끼어듬.  2.뮤순 알애너 번두시 끼어야 할 사람

약육강식(弱肉彊食): 약한 쪽이 강한 쪽에서 먹히는 자연 현상을 뜻합니다.

 

행복을 주는(고사성어 모음)

인의례지(仁義禮智): 사람이 갖추어야 할 사단,곧 어질고,외롭고,예의를 지킬 줄 알며,지혜가 있다는 뜻입니다.

인인성사(因人成事): 남의 힘으로 일어나 뜻을 이룬다는 뜻입니다.

인자무적(仁煮無敵):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는 뜻입니다.

일거량득(一擧兩得):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이득을 본다는 뜻입니다.

일망타진(一網打盡): 한 그물에 모두 다 모아 잡음, 곧 한꺼번에 모조리 체포함을 뜻합니다.

일맥상통(一脈相通): 솜씨,성격,처지,상태 등등이 서로 통한다는 뜻입니다.

일목요연(一木瞭然): 선뜻 보아도 똑똑하게 알 수 있다는 뜻입니다.

 

기본적인 고사성어 모음집!

일박서산(日薄西山): 해가 서산에 가까워진다는 뜻으로, 늙어서 죽음이 가까워짐을 비유한다는

뜻입니다.

일사부란(一絲不亂): 한 오라기의 실도 어지럽지 않음,곧 질서경연하여 조금도 헝크러진 데나

어지러움이 없음을 뜻합니다.

일시동인(一視同仁): 모두를 평등하게 보아 똑같이 사랑한다는 뜻입니다.

일어탁수(一魚濁水): 한 마리의 고기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 곧 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러 사람이 그 피해를 받게 됨을 비유

일언지하(一言之下): 한 마디로 딱 잘라 말함, 두 말할 나위 없음.

일엽편주(一葉片舟): 조그마한 조각 배

일일삼추(一日三秋): 하루가 삼년 같다는 뜻으로,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을 이르는 말입니다.

일장춘몽(一場春夢): 한바탕의 봄꿈처럼 헛된 영화

일취월장(日就月將): 나날이 다달이 진전함.

 

배워야 할 고사성어 모음집!

자가당착(自家撞着): 자기가 한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모순되는 것

자화자찬(自畵自讚): 자기가 그린 그림을 자기가 칭찬한다는 말로, 자기의 행위를 스스로 칭찬함을

이르는 뜻입니다.

작사도방(作舍道傍): 길가에 집 짓기라는 뜻으로, 무슨 일에 여러 사람의 의견이 서로 달라서 얼른 결정하지 못함을 읻컼는 말입니다.

작심삼일(作心三日): 한 번 결심한 것이 사흘을 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결심이 굳지 못함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적여구산(積如丘山): 산과 같이 많이 쌓임

적재적소(適材適所): 적당한 재목을 적당한 자리에 쓴다는 뜻입니다.

전광석화(電光石化): 번갯불과 부싯돌의 불,곧 극히 짧은 시간이나 매우 빠른 동작을 말함.

전무후무(前無後無): 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

전화위복(轉貨爲福): 화가 바뀌어 복이 되었다는 뜻으로, 언짢은 일이 계기가 되어 도리어행운을 맞게 됨을 이릅니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고사성어 모음)

진퇴량난(進退兩難):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어려운 처지라는 뜻입니다.

진퇴유곡(進退悠谷): 앞으로도 뒤로도 나아가거나 물러서지 못한다는 뜻으로, 긍지에 빠진다는 뜻입니다.

천려일득(千慮一得): 바보같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 속에는 한 가지 쓸만한 것이 있다는 말입니다.

천애지각(天涯地角): 하늘의 끝과 땅의 한 귀통이라는 뜻으로,서로 멀리 떨어져 있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천양지판(天壤之判): 하늘과 땅의 차이처럼 엄청난 차이입니다.

천인공노(天人共怒): 하늘과 땅이 함께 분노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용납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천재일우(千載一遇): 천년에 한 번 만남,곧 좀처럼 얻기 어려운 좋은 기회

천진란만(天眞爛灣): 1.많은 사물이 변화가 없이 모두 엇비슷한 현상을 뜻함.

2.여러 시문의 글귀가 거의 비슷하여 변화가 없음을 뜻합니다.

 

알아두면 행복해지는 (고사성어 모음 집)

천하영재(天下英才): 하늘 아래의 뛰어난 재주라는 뜻으로, 세상에 드문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을

뜻합니다.

철석간장(鐵石肝腸): 굳센 지조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청운만리(靑雲萬里): 푸른 구름 일만 리라는 뜻으로, 원대한 포부나 높은 이상을 이르는 말입니다.

청출어람(靑出於藍): 쪽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제자가 스승보다 낫다는

말입니다.

초록동색(草綠同色): 품의 푸른 빛은 서로 같다는 뜻으로,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은 서로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어울린다는 뜻입니다.

초지일관(初志一貫): 처음 품은 뜻을 한결같이 밀고 나간다는 뜻입니다.

촌철살인(寸鐵殺人): 작고 날카로운 쇠붙이로 살인을 한다는 뜻으로, 짤막한 경구로 사람의 마음을 찔러 감동시킴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춘풍추우(春風秋雨): 봄철에 부는 바람과 가을에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지나가는 세월을 이르는 말입니다.

 

사자소학(어린이들이 부모님에 대한 마음)

하즉량침(夏卽凉枕): 여름에는 부모님의 베개를 서늘하게 해 드리고,

동즉온피(冬卽溫被): 겨울에는 부모님이 덮으시는 이불을 따뜻하게 해 드려라,

약득미과(若得美果): 만약 맛있는 과실을 얻게 되거든 네가 먼저 먹지 말고,

귀헌부모(歸獻父母): 집으로 가지고 와서 그 과실을 부모님께 드리도록 하여라.

실당유진(室堂有塵): 집안에 티끌이 있거든,

상이추소(常以비 추): 늘 비로 쓸어서 깨끗하게 하여라.

 

배워야 할 사자소학 모음!

진기위충(盡己謂忠): 몸을 다하는 것을 충성이라 하고,

이실위신(以實謂信): 성실로 대하는 것을 신의라 한다.

인불충신(人不忠信): 사람이 충성스럽지 못하고 신의롭지 못하면,

하위인호(何謂人乎): 어찌 사람이라 말할 수 있겠는가?

수신제가(修身齊家): 자기 자신을 수양하고 자기 집안을 잘 다스리는 것은,

치국지본(治國之本): 바로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다.

 

사자소학(형제에 관한 마음가짐)

사기의식(私其衣食): 형제간에 그 의복과 음식을 나누어 입고 나누어 먹을 줄 모르면

이적지도(夷狄之徒): 오랑캐들의 짓과 마찬가지이다.

형유과실(兄有過失): 혹시 형에게 과실이 있다면,

화기이간(和氣以諫): 아우는 온화한 기색으로써 이를 충고하라.

제유과오(弟有過誤): 아우에게 과오가 있다면,

이성이훈(怡聲以訓): 형은 부드럽고 다정스러운 말로써 훈제하여야 한다.

 

사자소학(중 난이도)

인지처세人之處世):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불가무우不可無友):벗이 없어서는 아니 된다

택우교지澤友交之):벗을 가려서는 사귀면

유소보익有所補益):도움을 받는 비가 있을 것이다

우기덕야友其德也):벗의  덕을 가지고

불가유협不可有挾:  덕을 믿고 뿜낼  없을 것이다